대전 사랑카드, 온통대전이 사라진 후 어떻게 달라졌을까요?
목차
- 1. 온통대전에서 대전사랑카드로의 변화
- 1.1 명칭 변경 배경
- 1.2 주요 혜택 비교
- 2. 대전 사랑카드의 주요 혜택
- 2.1 기본 혜택
- 2.2 추가 혜택
- 3. 대전 사랑카드 사용 방법
- 3.1 신청 방법
- 3.2 사용 방법
- 4. 대전 사랑카드 주의 사항
- 4.1 사용 제한
- 4.2 기타 주의 사항
- 5. 결론
1. 온통대전에서 대전사랑카드로의 변화
2020년 5월 대전광역시에서 도입한 지역사랑상품권 '온통대전'은 2023년 4월 '대전사랑카드'로 명칭 변경과 더불어 혜택과 사용 방식에 일부 조정이 이루어졌습니다. 이 글에서는 온통대전과 대전사랑카드의 주요 차이점과 대전사랑카드의 혜택, 사용 방법 등을 알아보고, 주의 사항을 살펴봅니다.
1.1 명칭 변경 배경
온통대전에서 대전사랑카드로의 명칭 변경은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이루어졌습니다.
- 지역화폐 홍보 강화: '온통대전'이라는 명칭은 다소 익숙하지 않아 홍보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. '대전사랑카드'라는 명칭은 대전 지역을 사랑하고 지지하는 의미를 담아 지역화폐 홍보에 효과적이라는 판단이었습니다.
- 카드형 상품권 도입: 온통대전은 현금형 상품권이었지만, 대전사랑카드는 카드형 상품권으로 변경되었습니다. 이는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위조 방지를 위한 조치입니다.
- 포인트 시스템 도입: 대전사랑카드에는 포인트 시스템이 도입되어 사용 금액에 따라 포인트를 적립하고 다양한 상품과 교환할 수 있습니다.
1.2 주요 혜택 비교
구분 | 온통대전 | 대전사랑카드 |
---|---|---|
명칭 | 지역사랑상품권 |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|
혜택 | 사용 금액의 10% 캐시백 | 사용 금액의 3% 캐시백, 소득공제 혜택, 후불교통카드 사용 가능, 착한가격업소 5% 추가 캐시백 |
충전 한도 | 50만 원 | 30만 원 |
충전 기간 | 매월 1~10일 | 매월 1~15일 |
사용 기간 | 발급일로부터 2년 | 발급일로부터 2년 |
2. 대전 사랑카드의 주요 혜택
대전사랑카드는 크게 기본 혜택과 추가 혜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2.1 기본 혜택
- 사용 금액의 3% 캐시백: 대전사랑카드로 대전 지역 가맹점에서 결제하면 사용 금액의 3%가 캐시백으로 적립됩니다.
- 소득공제 혜택: 대전사랑카드 사용 금액은 소득공제 대상입니다. 연간 최대 100만 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후불교통카드 사용 가능: 대전사랑카드는 후불교통카드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대전 시내 버스, 택시 등 대중교통 요금을 대전사랑카드로 지불할 수 있습니다.
2.2 추가 혜택
- 착한가격업소 5% 추가 캐시백: 대전시에서 지정한 착한가격업소에서 대전사랑카드를 사용하면 사용 금액의
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사랑카드, 0~5세 자녀 둔 부모님을 위한 든든한 지원군! (0) | 2024.05.15 |
---|---|
국민은행 나라사랑카드 잔액조회 방법 완벽 가이드: 궁금증 해결부터 간편 확인 (0) | 2024.05.15 |
나라사랑카드 삼성페이, 어디까지 편리해졌을까요? (0) | 2024.05.15 |
광주사랑카드, 어떻게 등록하나요? (0) | 2024.05.15 |
횡성사랑카드: 지역경제 활성화와 소득세 혜택까지! (0) | 2024.05.15 |